초고령사회 대비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
관절염, 수술없이 통증 완화 '호관원' 자가진단테스트 이벤트상담 신청하기» 정부에서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비전으로, ‘살던 곳에서 충분하고 다양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장기요양서비스 강화’와 ‘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장기요양보험’을 목표로 장기요양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집에서도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기요양서비스 강화 살던 곳에서 거주하면서 돌봄을 희망하는 노인이 충분한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, 2027년까지 돌봄 필요도가 높은 중증(1·2등급) 수급자의 월 한도액을 시설입소자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을 추진한다. * (예) 1등급 월 한도액 재가급여 1,885,000원, 시설급여 2,452,500원(‘23) 또한, 야간·주말, 일시적 돌봄 등이 필요..
2023. 8. 17.
태풍 카눈 피해지역 특교세 지원
대구, 강원 등 6개 시도에 재난안전특교세 60억원 긴급 지원 행정안전부(장관 이상민)는 제6호 태풍 “카눈”으로 인한 피해 지자체에 특별교부세 60억 원을 긴급 지원한다. □ 이번 특별교부세 지원은 우리나라를 통과한 태풍 피해가 많이 발생하여 시설물 응급 복구와 이재민 구호 등에 소요하는 지자체 재난 수습 비용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, ○ 지역별 시설 피해 규모, 주민 대피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구, 강원, 부산, 경북, 경남, 충북 등 6개 시·도에 지원한다. □ 이번 응급복구비로 지원된 특교세는 피해시설의 원상회복 전에 임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긴급 조치하고, ○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피해잔해물 처리, 피해시설 위험 안내 표시 등 안전시설 설치와 주민들의 구호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..
2023. 8. 15.
서울시 아이돌봄 조부모 월 30만원, 최대 13개월 지원
서울시가 손주를 돌보는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월 30만원의 서울형 아이돌봄비를 지원합니다. 서울형 아이돌봄 신청대상 서울거주 만 24개월~36개월 영아가 있고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의 양육공백이 있는 가정 ※ 맞벌이 가정은 부부합산소득 25%경감 ※양육공백 가정 : 맞벌이 한부모(조손), 다문화 가정 등 2023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150%(월소득기준, 세전) 3인 : 6,653,000원 4인 : 8,102,000원 5인 : 9,497,000원 6인 : 10,842,000원 신청방법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(9월 오픈)에서 영아의 부모(양육자)가 온라인으로 신청 지원내용 영아 1명 기준 월 40시간 이상 돌봄 시 월 30만원 지원 최대 13개월 지원 - 조부모(4촌 이내 친인척 포함) 돌봄비 또..
2023. 8. 13.
2023년 하반기 이렇게 달라진다- 교육 보육 가족
위기청소년 특별지원 대상에 은둔형 청소년등 포함 특별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청소년에게 생활, 건강, 학업등 사회 경제적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고, 자립기반을 마련하게 된다. *위기청소년 특별지원 : 만 9~24세 위기청소년에게 생활비, 치료비, 학업지원비, 심리검사 상담비등 현금및 물품으로 지원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한다. 위기 청소년이어도 아동양육비를 받는 한부모가족 자녀인 경우 지원이 불가능했으나 사회보장제도변경협의를 통해 특별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. 선정기준 : 대상자 가구소득 중위소득 100%이하 지원기간 : 1년(필요시 1년 연장가능) 학업, 자립 지원은 3년까지 지원가능 신청방법 : 청소년 본인, 보호자, 청소년 상담사, 사회복지사, 교원등이 ..
2023. 7. 14.